3
인류의 대표적 자산 가운데 하나인 이야기 고전을 패러디한 양식을 통해 다시 읽고, 그 속에서 무엇이 전통을 만들어 가고 무엇이 변화를 촉발하는 지를 살펴본다.
2
기본적인 베트남어 지식습득을 목표로 한다. 다양한 예문, 회화, 문법을 통해 베트남어에 대한 기초 실력의 토대를 마련하고, 베트남어에 나타난 베트남의 문화를 익힌다.
2
외국어 습득의 근간인 문법과 실용적인 예문들 함께 다루어 정확하고, 스페인어의 토대를 마련하게 한다. 이 토대를 바탕으로 스페인 문화권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
2
기본적인 독일어 지식습득을 목표로 한다. 초급과정에서 이수해야 할 기본문법을 익히고 이를 이용한 짧고 쉬운 Text를 읽는다. 장차 연구, 진학, 취업을 위해 포괄적이고 실용적인 독일어 지식을 키우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2
불어의 기본구조를 습득하기 위하여 기초문법 설명을 중심으로 간단한 Text를 해독할 수 있게 유도함으로써 불어에 대한 전반적인 기초 실력의 토대를 마련하게 한다.
2
1학기 개설
본 강좌는 문법 위주의 일본어가 아닌, 실용적 일본어를 배움으로써 현장에서도 쉽게 활용되는 일본어 교육을 목표로 한다. 특히 회사나 국제교류와 같은 환경에서 일본인과 부담없이 이야기 할 수 있을 정도의 실력을 목표로 기초강좌를 마련했다. 비지니스에서도 응용될 수 있는 일본어 실력을 위한 첫 걸음으로 본 강좌는 매우 유용할 것이다.
2
2
독해란 단순히 영어학습을 위한 일환이 아니고 이 세상을 살아나가면서 선진 정보를 얻기 위한 필수적인 행위이다. 이 수업에서는 영화를 통하여 독해 증진을 위한 언어 훈련과 정보 수집의 중요성을 가르친다. 수업 절차는 영화를 보고 그 영화와 관련된 평을 해석하고 함께 토론한다. 영화 평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아주 신선하고 기발한 것이 많아 학습을 즐겁게 해 줄 것이다.
2
영화 속 루틴을 활용하여 궁극적으로 언어습득 능력을 촉진시킨다. 그리하여 1차적으로는 듣기 능력을 함양하고 2차적으로는 말하기를 위한 준비 단계가 된다.
2
영화의 흐름에 맞게 Narration을 직접 작문(Writing)할 수 있도록 하며 작문을 통해 문장의 구조, 어순 및 문법을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2
본 강좌는 처음으로 일본어를 접하는 학생들에게 일본어의 읽고 듣고 쓰고 말하기까지를 초급 수준에서 가능하게 하는 강좌이다. 단순한 문법으로만 진행하는 것이 아닌, 회화는 물론 일본인들의 생활 양식이나 문화에 대해서도 이해를 하는 시간일 될 것이다. 언어는 그 나라의 역사와 문화가 담겨 있으므로 일본어 커뮤니케이션 기초 반을 통해 일본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나아가 사회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력의 기초 단계를 다지고자 한다.
2
본 강좌는 일본어 커뮤니케이션 초급을 이수한 학생들이 보다 나은 실력을 쌓기 위해 마련된 강좌이다. 단순히 교재의 내용을 읽고 듣고 따라하는 것에서 벗어나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이야기 할 수 있는 수준까지를 목표로 한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활용되는 일본어를 중심으로 패턴 형식의 문장을 익힘으로써 적절한 상황으로 응용될 수 있기까지 훈련한다. 특히 일본인과의 원활한 소통이 가능하도록 강의를 진행할 것이다.
2
중국어의 기초적인 발음과 성조, 그리고 어휘의 습득을 통하여 중국어 커뮤니케이션에 필요한 기초적인 회화능력을 함양한다.
2
기초중국어커뮤니케이션Ⅰ에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용적이며 한 단계 더 심화된 중국어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배양한다.
2
다양한 동사시제와 단어들을 학습하여 스페인어로 여러 가지 상황에서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고 연습하여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데 초점을 둔다.
2
기초 중국어 실력을 기본으로 하여 중국의 다양한 미디어 자료(영화, 드라마)를 통해 실제 중국인들의 대화와 표현을 익히고 활용하여 중국어 회화 능력을 함양한다.
2
2학기 개설
The class will meet once a week for two hours, and cover a chapter a week from New International Business English, Cambridge University Press, and a chapter from Slangman Guide to Biz English, Slangman Publishing. Basic English skills essential for business and professional uses, integrated activities on face to face talk, letters, and memos, phone skills, reports, working together, international trade, money matters, problems, travel, marketing, meetings, processes, job applications and resumes (CVs), Sales and negotiation, and reviewing are included in the course work, with slang and idioms being covered as supplementary work. Beginning English being completed first is requested.
3
This class is designed to give students a background in understanding other cultures related to business. It will be primarily an English conversation class, giving students an introduction in to the business world in a global society. Students will learn to think critically and solve problems as they develop their oral communication skills.
3
외국인학생만수강
한국어의 음운체계 및 정확한 발음을 습득하고 학교 및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본적인 어휘와 표현을 학습하여 기초 한국어를 구사하도록 한다.
3
외국인학생만수강
한국어 자모 습득부터 시작하여 정확한 발음과 읽고 쓰는 법을 학습하며, 기본적인 우리말 유형과 어휘를 학습한다. 기초적인 한국어 말하기와 듣기를 연습한다.
3
외국인학생만수강
1급보다 복잡한 언어 구조를 학습하고 일상생활에서 만나게 되는 여러 상황에서 필요한 유형과 어휘를 학습한다.
3
외국인학생만수강
기본적인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한국어로 간단한 일상생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심화된 한국문화와 풍습을 이해한다.
3
외국인학생만수강
고급 한국어 학습자가 수강하는 과목으로, 한국어에 담긴 언어문화와 언어 예절, 한국인의 일상 생활문화, 한국의 전통 문화 등을 살펴보고 이해한다. 또한 학습 주제와 관련된 고급 수준의 한국어 어휘와 표현 등을 익힌다.
3
3
외국인학생만수강
본 강좌는 한국의 대중문화, 그 중에서도 K-drama와 K-pop과 같은 매체를 활용하여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K-drama와 K-pop에 나오는 한국어 어휘와 문법을 가르침으로써 이를 학습자에게 내재화시킨다. 또한 대중문화 속에 투영된 한국의 사회상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의견 교환을 통해 한국 사회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고 자신의 의견을 한국어로 말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킨다.
2
계절학기개설
기본적인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현지어로 간단한 일상생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과 해외문화와 풍습 등을 통해 문화적 소양을 키운다.
2
세계로 확대된 비즈니스 현장에서 영어 발표와 토론 능력은 실무력을 겸비한 준비된 사회인의 기초 소양으로 자리잡고 있으므로 이에 대비할 수 있는 교과목이다. 다양한 주제와 매체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다각적인 트랜스미디어 활용을 통해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력을 배양하고 이를 영어로 발표하는 기회를 부여한다. 다양한 발표 미디어들의 활용능력을 길러서 효과적인 발표기술과 전략을 탐구한다. 발표 관련 주제와 발표내용에 대한 토론을 실시하여 논리력과 설득력을 함양한다.
1
국제화 시대에 국제화에 대한 자각력을 높이고,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효과적으로 의사소통 할 수 있는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을 함양한다. 영어표준화 시험에 익숙해지고 영어실력을 향상시킨다.
3
외국인학생만수강
실용적 목적의 다양한 장르(안내문, 게시판, 이메일 등)의 특성을 고려한 쓰기 능력을 배양한다. 학문 수행을 위한 실제적 쓰기(노트 필기, 시험 답안 작성, 레포트 쓰기 등)와 관련된 쓰기 전략 학습법을 익힌다. 디지털 정보 및 매체를 활용한 글쓰기 전략을 학습한다.
3
외국인학생만수강
외국인 학습자가 한국어로 된 뉴스와 기사 등을 읽고 듣는 활동을 통해 고급 한국어를 학습하고, 다양한 정보를 학습하여 한국 사회를 이해하는 능력을 기른다. 또한 현대 사회에서 미디어를 통해 정보를 찾고 평가하고 활용하는 디지털 문해력을 기른다.
3
외국인학생만수강
본 강좌는 외국인 유학생과 교환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 문학 작품 읽기와 감상을 통해 한국의 언어와, 사회 그리고 문화를 깊게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데 목적을 둔다. 학습자들은 한국어로 쓰인 가장 수준 높은 읽기 자료라고 할 수 있는 문학 작품을 시조에서부터 근현대 시, 수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로 접하면서, 한국의 전통과 계승, 한국인의 집단 정서를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것이다. 아울러 한국 문학 작품을 감상하는 가운데 문학적 능력을 신장하여 인문학적 소양을 갖춘 지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
3
외국인학생만수강
본 강좌는 외국인 유학생과 교환학생을 위한 과목으로, 대학에서 요구되는 말하기인 토의, 발표, 토론 등을 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다른 사람과 소통하는 능력,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방법, 언어와 몸짓언어 표현법 등을 익힌다.
3
Improve speaking, communication, and reading skills in English. 1. Students will learn new vocabulary and phrases. 2. Develop the skills of understanding texts on various topics 3. Improve speaking with more complex structured sentences 4. Gain confidence in developing conversations on everyday topics 5.Enhance English reading fluency of the students.
2
동아시아 근현대사를 보다 역사적 거리를 두고 분석. 서술함으로써 일방적인 기존 연구 성과를 강요하는 방식을 벗어나 수강자들로 하여금 스스로 근대화 과정과 정치적 인물들을 평가하도록 만들 수 있도록 한다.
2
한국사의 전개과정에서 나타난 생활권을 역사문화 범주로 설정하고 그 속에서 나타나는 역사의 현상과 성격을 문화적 특징으로 이해한다.
2
인간의 의식주를 비롯한 제반 생활양식은 문화라는 거울에 투영되므로, 인류역사의 진보에 따른 문화상의 발생배경과 그 특징을 이해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2
서양근대의 시민혁명들이 발생한 원인과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이것들이 서양의 근․현대 역사의 흐름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던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3
철학을 전공하지 않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미학과 예술철학의 주요 논의들을 강의하고 토론하는 강좌로서, 다른 대학들에서 흔히 ‘예술에 대한 철학적 이해’, ‘대중예술의 철학적 이해’, ‘영상 예술 철학’, ‘현대 미학’ 등의 이름으로 개설되는 강좌의 내용을 포괄하여 예술에 대한 철학적 논의들을 다룬다. 교양 강좌로 개설되는 점을 감안하여 철학사적 논란은 가급적 배제하고 인문학적 교양을 높일 수 있는 문헌들을 강의 대상으로 삼을 것이며 구체적 예술 작품에 대한 논의도 가능한 한 많이 포함시킬 것이다.
2
The major tasks are to provide students with better understanding of modern Korean history seen from rather unusual angle whose significance is often underestimated. The task is to make students interested in their history and their city, to help them to appreciate and understand the efforts and sacrifices made by their ancestors during the turbulent era of Korean history. Since the classes will necessarily concentrate on Seoul, the students will acquire a better “feel” of the city where they live, and they will be able to place the modern problems in the context of history.
2
This is an appreciation course for all students with intermediate to advance level English skills who are interested in learning about western philosophy in English. Our aim is not to delve deeply into any controversial issue but to stroll lightly through the history and development of philosophical ideas, from early Greek philosophy to the twentieth century analytic philosophy and, in the process, acquaint ourselves with many of the greatest figures in philosophy.
2
모든 물음의 근원에 철학이 있다. 아르케는 근원이며 원형인 물음을 의미한다. 아르케세미나는 철학에 관심 있는 학생들이 자신의 관심을 한걸음 더 발전시키기 위한 교과목으로 기획되었다. 필로소피아 교양심화과정을 수료하고 싶은 학생은 이 교과목을 성공적으로 마쳐야한다. 아르케세미나에서는 가능한 한 일차 텍스트를 읽고 분석하며 수강생은 토론과 글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세미나에서 다룰 주네는 담당 교수의 전공 분야에 따라서 달라지며 동양 서양의 철학 거장의 주요 문헌에서 선정될 것이다.
3
이 강좌는 교양심화전공 (K-컬처)의 입문을 위한 문화학(culturology) 개론이다. (K-컬처) 과정의 핵심적 의미를 다루고 문화이론의 기초를 다짐으로써 한국문화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돕는다. 수강생들은 이 강좌를 통해 (K-컬처) 과정에 포함된 다수의 학문적 접근을 상호연결하는 방식을 파악함으로써 한국문화에 대한 입체적인 시각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K-컬처 교양심화과정을 수료하고 싶은 학생은 이 교과목을 성공적으로 마쳐야한다.
3
1학기 개설
박물관 전시 큐레이팅 수업은 큐레이팅의 핵심 기초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와 함께 큐레이팅의 최신 경향을 탐구할 수 있도록 현직 국·공·사립 대표 박물관의 전문가를 만나 박물관에서의 살아있는 경험과 지식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박물관의 소장품을 활용하여 특별전을 직접 기획하고, 관련된 실습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수업 내용을 구성하였습니다.
3
2학기 개설
박물관 큐레이터의 업무 전반을 학습하고 수행해볼 수 있는 수업이다. 학습자는 명원박물관을 활용하여 박물관 소장품을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시 기획 및 전시해설에 관한 실무를 직간접적으로 체험해볼 수 있도록 한다.
3
2학기 개설
기후변화는 21세기 인간이 마주하고 있는 가장 중대한 문제 중 하나이다. 기후변화는 주로 과학, 공학, 정책 등의 문제로 다뤄지고 있지만, 인류의 오랜 유산인 인문학 역시 빼 놓을 수 없는 중요한 역할과 기여를 담당할 수 있다. 본 수업은 기후변화 시기의 이러한 인문학의 위치와 역할을 배워보고 인문학적 사고로 기후변화시대를 상고해보는 시간을 갖는다. 특별히 본 수업은 철학, 문학, 종교학 및 신학의 응답들을 살펴보고, 평화, 정의, 생명 등의 가치가 어떻게 기후변화 시대를 다르게 바라보게 하는지 탐구해본다.
3
이 교과목은 “인간은 무엇을 알 수 있는가?”라는 철학적 물음 아래 서양철학사의 주된 인식론 및 지식론을 공부한다. 인식론 및 지식론과 연관하여, 고대 회의주의 계열의 철학자들의 논증 방식과 통찰을 집중적으로 공부한다. 구체적으로, 이 강의는 고대 그리스 철학계에 회의주의를 최초로 선보인 피론을 시조로 하는 피론학파의 회의주의, 무지의 죄를 고백하였던 소크라테스를 기원으로 하는 아카데미 학파의 회의주의, 아카데미 회의주의를 비판하였던 아우구스티누스와 그의 회의주의적 방법론 그리고 고대 피론주의를 부활시켜서 신앙주의와 회의주의 간의 융합을 모색하였던 몽테뉴 등의 회의주의자들이 펼쳐내었던 논쟁의 역사를 공부한다. 이러한 공부를 통하여, 수강생들은 독단에 얽매이지 않으면서 자신의 생각을 정립하고 표현하는 새로운 철학적 방법론을 공부할 수 있을 것이다.
3
대 사회에서는 미디어를 통하여 많은 전문지식이 제공, 전달되고 있습니다. 특히 금융 관련 지식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지금, 전문용어에 손쉽고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미디어에서 묘사되는 금융 관련 지식들은 상당히 잘못된 부분도 많습니다.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는 미디어에서 등장하는 금융에 대한 지식을 쌓아 금융적인 지식을 갖춘 인재양성을 위한 기초지식을 쌓을 수 있는 교과목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2
현대인으로서 자신의 재산관리 혹은 자산형성에 관해 관심 없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이를 위한 방법을 총괄하여 일반적으로 재테크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부동산투자관리와 증권투자를 비롯하여 보험 및 금융상품 분석 등 상당한 수준의 전문지식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전공자가 아니면 그 내용을 체계적으로 이해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이 과목은 교양수준에서 이러한 여러 가지 재테크 방법의 기본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간추려 알기 쉽게 설명하는 교양과목이다.
2
본 과목은 공공정책의 형성과 결정, 집행 및 평가의 세 측면을 살펴보고 공공정책이 국가의 운영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민주사회에서 사회의 여러 집단들이 제시하는 요구사항을 정부는 어떤 과정을 통해 수용하는지, 또한 국민 중심적인 정부의 경영방법은 어떻게 구축되어야 하는지를 사례 중심적으로 논의하여 수강생들이 국가경영에 대한 참여 중심적인 시민의식을 함양하도록 한다.
2
오늘날 우리나라와 세계 공동체가 직면하고 있는 만성적인 문제는 이를테면 권력과 부의 불평등, 끊임없는 적대와 무분별한 자기 파괴적 소비형태로 인한 환경위기 등이다. 맑시즘이 이러한 병폐를 극복할 수 있는 도움을 제시할 수 있는가를 맑시즘의 역사와 그 실패와 한계를 객관적으로 공부하여 본다. 또한 오늘날의 사회주의운동에 대하여도 포괄적으로 알아보는 것이 본 강좌의 목적이다.
3
과학기술의 발달 과정과 추세 및 그에 따른 사회 구조의 변동을 분석함으로써 현대사회를 진단하고 미래사회를 예측하며 이에 따른 제반 문제점들을 토의한다.
2
개인간의 일반생활관계와 관련된 법의 기초적 분야와 재산에 관한 기본적인 민법의 내용과 가족법의 기초를 이해하게 함으로써 가정생활과 시민생활에서 직면하는 법률관계에 응용할 수 있게 한다.
2
1945년 해방이후 북한역사의 흐름을 시기별로 나눠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북한사회가 갖는 독특한 성격과 향후 개혁, 개방의 방향을 전망하고, 북한역사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쟁점들을 다룬다.
2
북한의 최고 권력자였던 김일성과 김정일, 현재 최고통치자인 김정은의 활동과 정책, 그리고 고위간부들의 성향분석을 통해 북한의 정치구조와 변화하는 남북관계를 이해한다.
2
일상생활을 영위하면서 부딪치게 되는 조세문제를 구체적 사례위주로 살펴보고 그 해결책을 제시한다.
3
동북아 인접국가로서 일본의 지리적 상황을 개술하고 일본의 도시사회, 일본 내 한국인사회, 일본의 문학, 드라마 애니메이션, 영화, 조형예술, 민속, 음식뿐만 아니라 일본인의 의식구조 등 일본에 대해 통합적으로 다룬다. 특히, 일본의 문화와 예술의 이해를 통해 지성적 교양인으로의 함양을 기대한다.
2
이 강좌는 일본의 대중문화에 대한 과학적 분석을 통해서 일본의 근현대 사회를 이해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 내용은 첫째, 일본에서 근대적 대중이 탄생한 뒤 현대 정보화 사회에 이르기까지의 대중사회 발전에 대한 역사적 이해, 둘째, 대중가요, 영화, 만화, 애니메이션 등 일본 대중문화의 제양상 소개와 그 사회적 의미 추출로 이루어진다.
2
1학기 개설
정보 통신 기술이 개인의 사회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미래 사회구조의 형태 및 진화 방향들을 탐색한다.
2
자본주의 체제하에서 경제적 중심 역할을 하는 기업의 자금 동원 수단인 증권에 대한지식은 현대인의 필수 요건이라 할 수 있다. 본 과목에서는 증권 시장의 체계와 기능, 증권 가격의 결정 원리와 결정 요인을 공부하며, 투자 효율을 높이기 위한 증권투자의 전략 수립과 전략의 성과 평가에 관한 이론을 현실성 있는 예제를 중심으로 강의한다.
2
지식재산 표준교육과정의 ‘지식재산 입문’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지식재산권 개요 및 최근동향, 특허의 창출, 특허요건, 특허출원 및 심사제도, 특허명세서의 이해와 작성, 권리범위의 해석의 기초, 특허권의 내용, 특허분쟁대응, 특허정보조사개요, 선행기술조사 방법, 상표제도의 이해, 디자인제도의 이해, 저작물 및 저작자 등의 내용을 다룬다.
1
기업 채용형태 및 경향을 분석하여 채용시장 진입에 필요한 경쟁력을 확보하고 올바른 경력관리를 통하여 안정적인 사회생활을 가능토록 효과적인 취업대책을 준비한다.
2
청년실업 100만 시대에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로서의 능력과 자질을 갖추고 학생들의 취업에 대한 마인드 확산 및 자기역량을 개발시키며 취업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주고자 개설. 저학년(1-2학년) 대상으로 하는 취업정규과목을 개설하여 조기진로결정 및 예측 가능한 양질의 취업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취업경쟁력에서 비교우위를 선점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자 함.
2
청년실업 100만 시대에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로서의 능력과 자질을 갖추고 학생들의 취업에 대한 마인드 확산 및 자기역량을 개발시키며 취업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주고자 개설. 고학년(3-4학년) 대상으로 하는 취업정규과목을 개설하여 조기진로결정 및 예측 가능한 양질의 취업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취업경쟁력에서 비교우위를 선점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자 함.
2
The main goal of this course is to introduce students to the interconnectedness of South Korean- U.S. relations. This will involve review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analyzing the key issues and challenges that both countries face today.
1
NCS 블라인드 채용 전형이 일반화되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공공기관 취업을 위해 저학년 때부터 준비하여야 하는 사항들을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진로설계 및 취업전략과 계획을 수립합니다.
3
본 강의는 광고와 미디어에 대한 교양코스로서 광고와 미디어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위해 미디어 환경안에서의 광고를 관찰하는 두 가지 관점인 미시적 관점과 거시적 관점 모두를 종합적으로 고찰한다. 미시적 관점에서는 광고의 역사, 광고산업의 전반적인 조직구조, 광고캠페인의 집행 및 크리에이티브의 제작과정, 광고효과 및 전략과 관련된 다양한 사회심리학적 이론들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거시적 관점에서는 경제, 사회, 문화에 미치는 광고의 영향력 등에 관하여 살펴본다.
2
2학기 개설
본 과목은 특허를 중심으로 상표, 저작권 등 지식재산권 전반에 관한 이론과 실무를 배울 수 있는 과목으로서, 특허검색 및 분석, 명세서 작성 및 전자출원, 지식재산권의 활용 및 침해 등에 관한 실습과 사례분석을 통해 특허와 지식재산권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3
본 강좌는 의회정치이해 이론에 대한 강의가 진행된다. 정치는 다양한 세력과 다양한 주장들이 모여 정치권력을 획득하기 위한 과정이다. 이 과정은 오늘날 대의민주주의하에서 의회를 중심으로 작동된다. 이에 본 강좌는 의회정치 실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정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2
Students will explore the evolution of North Korean society and economy since the 1980s, examining the dynamics between the private market and state-controlled economic sectors in post-1990 North Korea. Additionally, they will gain insights into the key social groups that shape the government's economic policies, including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local authorities, entrepreneurs, and state enterprise managers.
2
현실정치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여야 정치 지도자들을 초빙하여 우리 사회의 다양한 현안에 대한 그들의 철학과 식견을 청취하고 토론함으로써 미래 한국 사회를 이끌어갈 지도자로서의 역량을 함양한다.
3
I aim to give insight and guidance to students on various career topics such as soft skills, mentoring, imposter syndrome among many others. The class will meet once a week for a 3 hour class.
3
The class will focus on various news topics, issues, etc. highlighting key topics, issues, etc. happening in South Korea and worldwide. It will use news materials in English from newspapers, magazines, TV and radio.
3
사회심리학 이론을 기반으로 인간과 미디어, 사회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고, 각자의 생각과 감정, 행동이 타인의 존재나 인식 등에 의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배울 수 있다. 특히 미디어 폭력과 인간의 공격성이라는 핵심 개념을 기반으로 공격이 일상화된 현재의 시대를 이해하고, 비판적 관점에서 미디어를 현명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본 교과목에서는 수강생들이 미디어 이용 맥락에서 인간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진짜 해로운 미디어 폭력이 무엇인지를 이해할 수 있도록 미디어 효과 이론을 공부하고, 실제 영상을 분석하고 평가하며 해석하는 과정을 경험할 수 있다. 또 인간의 공격성을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2
2학기 개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에 대응하여 국가 및 지방의 역할과 책임, 공공정책의 중요성을 다루는 과목으로써, 사회적·경제적 변화와 기술 발전 속에서 정부가 해야 할 역할을 탐구하고, 미래 사회를 준비하기 위한 국가 운영과 정책 방향을 분야별 교강사가 전문 이슈 영역별로 주별 강의를 진행하는 옴니버스 형식의 강좌이다.
3
1학기 개설
범죄란 무엇인지, 형법이란 무엇인지, 형법이 우리의 현실에서 어떻게 등장하는지 본다. 이로써 형법을 이해하고 형법의 본질과 현실을 깨달으며, 형법에 대한 호기심을 갖는다.
2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공학기술의 중요성은 날로 높아지고 있으며, 현대 교양인으로서 첨단 공학의 발전 방향과 흐름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융복합을 강조하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공학적 문제해결 방법론을 이해하는 산업연계 인재 양성을 위해 본 과목을 신설하고자 한다.
3
COVID-19 팬더믹, 기후위기, 극단적 테러조직 등 전 세계 크고 작은 분쟁과 이슈들 속에서 미래세대들이 사회에 기여하고 스스로의 역할을 개척하기 위해 ‘공간(지리)’을 이해하는 힘이 필요합니다. 또한, 이 ‘공간(지리)’은 우리가 살아가는 환경을 결정하고, 주요 환경 이슈들과 밀접하게 상호작용하며, 특히 인문-사회-과학-공학의 사이에서 연계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최근에는 공간정보가 인공지능과 디지털트윈, 메터버스 등과 연계하여 초연결시대의 기반이 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우리 교양대학에는 이와 같은 자유교양과목이 없어 지리와 공간을 이해하는 교육이 진행되지 못하였습니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와 미래 융복합 인재 양성을 위해 꼭 필요한 과목으로 사료됩니다. 이에 따라 본 과목 신설을 요청합니다.
2
태초부터 인류 생활의 필수 재료로 사용되어 온 자원으로서의 목재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크게 나무의 생물과학, 목재 바이오매스의 이용, 목질재료라는 과학, 목재의 생물 분해라는 주제를 선택하여 다룬다. 이를 통해 지구 환경에 대해 공익적인 측면을 갖고 부담을 주지 않는 친환경 목재 자원의 순환계가 사람과 자원 사이의 올바른 관계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본보기로서 이상적임을 이해시키고자 한다.
2
숲은 생명의 고향이고 삶의 터전이며 역사와 문화의 산실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숲의 아름다움을 감상하고 숲의 흔적과 위치를 철학, 문화, 예술사적으로 고찰하여 그 가치와 중요성을 재조명하며, 야외 현장에서 숲을 체험하는 기회를 마련하여 생태학적 의미도 경험토록 한다.
2
식물이 가진 기본적인 특성과 인간생활 속에 깃든 식물의 기능과 역할을 학술적이고 정서적인 측면에서 관찰하여 식물의 사회적 의미를 파악함으로써 녹색의 자연과 멀어지기 쉬운 정보화 사회를 살아가는 젊은이에게 심미적으로 정서적으로 균형 있는 상식을 갖추게 한다.
2
한국전통 음식문화사를 이해하고 생활변화에서 오는 현대인의 식품소비 패턴 및 식문화를 이해한다.
2
2학기 개설
에너지와 인류문명의 상호관계를 이해하고 점차 그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는 신에너지의 원리 및 활용방안, 그리고 실생활의 적용방법 등, 생활화에 필요한 정보를 습득한다. 또한, 기초적인 에너지 공학이론을 습득하여, 경제적 에너지 생활 및 생태적 생활을 위한 공학적, 철학적 지식을 공부한다.
2
본 교육과정은 산업계의 요구사항을 교육과정에 반영한 교육을 통해 산업계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근년 세계적으로 크게 부각되고 있는 “녹색성장”은 지속가능 경제발전과 환경보존을 동시에 성취해야하는 과제를 현대사회에 안겨주고 있다. 본 과목(현대사회와 에너지)에서는 현대사회에서 요구되는 지속가능한 지구환경보존과 인류의 생존에 필수적인 에너지의 경제적 또는 사회적 영향에 대해 소개하고 현대사회에서 알아야 할 에너지, 특히 온실가스감축에 도움이 되는 재생에너지 종류와 기술 등을 소개한다.
2
인체에 필요한 영양소가 체내에서 어떻게 기능을 하며 대사과정에 관여하는가를 이해하고, 가장 적절한 건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영양적 방안을 모색한다.
3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허무는 IT기술의 무한성은 최근 ‘XR’이라는 용어까지 탄생시켰다. ‘확장현실’이라고 불리우는 ‘XR’은 ‘eXtended Reality’의 약어로 현재 개발된 VR, AR, MR 기술은 물론 미래에 등장할 또 다른 형태의 미지(未知) 현실까지도 포괄하는 개념이다. 본 과정은 XR Research Center의 최신 시설, 장비 및 전문인력을 활용하여 이공계뿐만 아니라 인문사회 및 예술분야 등 다양한 학생들이 XR 콘텐츠 제작에 관심과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게임엔진(유니티, 언리얼 등)을 활용하여 실제로 혼합현실을 디자인하고 구현하는 실습과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XR의 기본적인 개념과 역사, AR과 VR 제작방식 그리고 게임엔진을 활용한 XR 콘텐츠 제작까지 단계별로 학습하게 되며, 이를 통해 XR 콘텐츠 제작에 대한 기초지식과 인문학-IT-디자인을 아우를 수 있는 융합적 역량을 배우고 나아가 본인만의 콘텐츠 개발에 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2
2학기 개설
최근 들어 무인항공 기술의 진보에 따라 무인항공 멀티콥터들은 농업용뿐만 아니라 항공촬영, 공간정보수집, 송전선감시, 화물 배달 등에 효율적인 차세대 시스템으로서 다양하게 활용분야를 넓혀가고 있고, 이러한 추세는 더욱 빠르게 넓혀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무인항공 멀티콥터의 항공역학, 원리, 구성과 항공법 안전관리의 문제에 대해 더 폭넓은 항공 관련 지식을 겸비하기 위한 교과목이다. 멀티콥터의 조립과 분해, 직접 비행 실습을 통하여 활용 및 응용에 대해서 알아본다.
3
2
자동차에 역사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고 최근 주목받고 있는 전기자동차의 기본원리와 핵심 부품들에 대해 설명한다. 친환경자동차 관련 최신 기술동향에 대해 소개한다.
3
전공자가 아닌 교양인으로서 물질과학의 기초적인 지식을 이해하고, 재료과학 및 첨단 신소재가 과학기술 문명의 발달에서 기여한 바를 고찰하며, 주요 미래 융합기술을 탐구하고 과학의 미래를 그려본다.
3
1학기 개설
우리사회는 기후위기 시대로의 전환, 탄소중립 목표, ESG경영 등의 다양한 글로벌 기후이슈에 직면해있다. 매년 갱신되는 기록적인 기후재해와 도전적인 탄소중립 목표는 기후위기 대응에 모두의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본 교과목은 미래세대의 가장 큰 화두인 기후위기를 이해하기 위해 데이터 사이언스 통해 확인되는 기후변화 현상과 전망을 확인하며, 다양한 데이터로 전 세계에서 확인되고 있는 기후변화를 종합적으로 이해한다. 이를 통해 기후위기 시대를 살아가는 지성인들의 역할과 지식을 함양하고자 한다.
2
빛과 아인슈타인 교과목은 알버트 아인슈타인에 의하여 탄생된 상대성 이론(일반상대성 이론/특수상대성 이론)에 대한 기본 개념과 원리를 탐구합니다. 상대성 이론은 우리의 우주와 시간에 대한 이해를 혁명적으로 바꾼 물리학 이론 중 하나로, 빛의 속성, 광속의 상대성, 중력의 곡률(시공간의 변화)등에 관한 개념을 다룹니다. 이 교과목은 수학적인 내용은 최소화하고, 더욱 직관적이고 시각적인 방법으로 이론을 소개하여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설계되었습니다.
3
본 과목은 미래 모빌리티 디자인의 법적 보호 범위, 운전자의 개입 없이 안전성을 확보하는 완전자율주행차를 구현을 위하여 필수적인 인공지능(AI), 이에 따라 제기되는 자율주행 사고 발생시 현행법상 사고 책임 소재 및 보험제도 개선 필요성, 실시간 위치·주행기록 수집에 따른 사생활 침해 문제, 자율주행 자동차의 상용화를 위해 필요한 공간정보의 활용 및 공공데이터 자유이용 범위를 검토한다.
3
S/W 비전공자의 접근성을 높이는 생성형 Ai 도구를 활용하여, SAAS(Software-as-a-Service) 를 제작하는 소프트웨어 서비스 개발 교육을 실시한다. 이를 통해 실 비즈니스의 이해도를 높이고, 새로운 창업 아이디어로의 신속한 구체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모듈조립형 제작방식을 사용하여 빠른 학습 결과를 도출하도록 유도한다.
3
2학기 개설
본 과목에서는 현대사회에서 새로운 과학과 기술의 발달과 함께 생활전반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의 위험성과 구체적인 사례들에 대하여, 현대문명의 발전과 환경오염의 관계, 화학물질의 사용에 따른 환경오염과 환경호르몬, 지구온난화와 기상이변 등의 다양한 환경 문제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환경오염이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적절한 처리 및 대처방안 등에 관하여 폭넓게 다루어 본다.
3
한국의 차세대 통신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고 있으며, 인프라 구축과 기술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로 인해 5G 네트워크의 상용화와 함께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등의 글로벌 첨단기술 및 산업의 각축장이 되고 있다. 스마트시티, 자율주행, 산업용 IoT 등의 분야에서도 차세대통신기술이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이러한 기술들을 바탕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새로운 산업 생태계가 창출되고 있다.
2
1학기 개설
문화예술의 주축이 되는 건축의 예술적 가치를 시대적인 경향과 여러 건축적 관점을 통해 이해한다. 주로 슬라이드의 시청각 매체로 강의되는 내용은 현대건축이 형성되기까지의 역사적 과정을 살피고, 주로 모더니즘 이후의 현대건축을 공간, 기능, 기술, 표현 등의 주제별로 소개한다.
3
본 교과는 학생들이 무용, 음악, 연극 등 다양한 공연예술의 일반적 특성과 각 장르별 특수성을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와 관점을 제공함은 물론 현장학습을 통해 각 장르의 예술을 직접 감상함으로써 공연예술문화에 보다 친숙해 질 수 있는 교양강좌이다.
1
검도는 몸을 보호하는 장비를 착용하고, 죽도를 사용하여 두 사람이 겨루는 것으로 이러한 과정 속에서 심신수양은 물론, 인내력, 예의를 배양하는 교육적 무도이자, 스포츠다. 현제 평생운동으로도 많은 각광을 받고 있는 검도수련을 통하여 우리 학생들에게 심신의 수양과 함께 자기방어 능력, 대학 및 사회생활에 필요한 예절과 극기정신을 배양하여 건강하고 기상 있는 대학생, 나아가서는 건전한 시민으로서 필요한 자질을 함양할 수 있다. 또한, 검도수업을 이수한 학생들에게 무도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급, 단을 부여함으로써 단계별로 발전하고 있다는 성취감을 경험하게 한다.
3
서양과 한국의 대표적 희곡을 읽고 그에 대한 영화나 공연을 감상한다. 각 작품에 나타나는 주제를 중심으로 사회적 배경과 가족관계, 주인공을 중심으로 다양하게 드러나는 인간들의 모습의 동기와 선택, 운명에 따른 결과 등을 살펴보고 오늘날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을 지속적으로 하면서 자신의 삶의 주인공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한다.
2
문화예술의 개념과 가치를 논하며, 문화예술교육의 문화 정책적 함의를 이해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1
수영을 통하여 부족한 전신대근 활동을 증진하며 생활체육 활동의 일환으로 건강한 습관을 갖도록 하며 수영의 특성과 효과를 이해하고 수영의 실기 기능과 안전 기능을 습득한다.
1
스포츠와 댄스를 결합시킴으로써 경직되기 쉬운 스포츠에 리듬과 유연성을 제공하고 보다 적극적이고 율동감 있는 신체활동을 영유케 할 수 있는 능력과 이론을 다룬다.
2
영화의 기본적인 문법과 기술에 대한 이해를 갖도록 하면서 영화의 탄생 이후 지난 100년간 일어났던 내용과 형식을 개괄적으로 살펴본다. 시대별, 장르별로 가치 있는 영화를 수업시간에 직접 보며, 분석하는 동시에 현재 상영되는 영화를 감상하는 안목을 기른다. 또한 영상으로 표출되는 다양한 삶의 모습을 살피면서 영화와 사회와의 관계 등을 탐색한다.
2
이 교과목은 1920년대 초 리치오토 카누도가 영화를 제7의 예술이라고 명명한 의미를 되새겨 흥행성에 치우치지 않고 예술성을 추구하는 작가주의적 경향의 영화를 시대의 흐름에 따라 엄선하여 감상하고 분석해 볼 수 있다.
3
뮤지컬을 이해하고 체험해서 몸으로 익히고 뮤지컬 관람요령 및 관객으로서의 훈련법을 익힌다. 또한 조별 수업을 통해서 공연예술이 요구하는 Team Work을 배운다.
1
골프에 관한 개요, 역사, 경기규칙을 이해하고 기초기능을 습득시킨다.
1
농구의 기본기술을 실습, 이해하고 게임을 통한 응용기술과 경기규칙 및 심판법을 습득한다.
1
신체활동을 통하여 건강을 증진하고 체력을 향상시키며 탁구에 대한 기초기술과 경기규칙을 이해한다.
1
테니스의 기초기술을 터득하고 게임운영 및 전략을 익힘으로써 체력의 증진과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도모할 수 있도록 스포츠 활동의 생활화를 목표로 한다.
3
사람들은 클래식 음악은 지루하고 어렵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우리는 알게 모르게 클래식 음악을 많이 듣고 있다. 본 수업에서는 일상생활 속에서 늘 접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잘 모르고 있는 클래식 음악을 그 기능과 활용 차원에서 다양하게 살펴봄으로써 클래식 음악에 자연스럽고 친근하게 접근한다. 본 수업은 학생들이 음악감상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음악적 핵심개념을 탐색하고 이해력을 높이며, 음악을 즐기며 향유하는 마음을 길러, 음악의 구체적인 생활화를 도울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음악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고, 타인의 음악적 표현을 이해하고 공감하며 소통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른다. 또한, 음악의 아름다움, 특징 및 가치를 개방적 태도로 수용하고 이해하며,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행복을 창출할 수 있는 음악적 감성역량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2학기 개설
우리 고유의 옷 한복이 ‘요즘 감성’과 만나 MZ세대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이에 한복과 함께 착용할 수 있는 한복 소품에 대해 이론적으로 이해하고 직접 제작해보는 교양 수업을 마련함으로써 대학생들이 한복 문화에 쉽고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전통의 가치와 의미를 제고할 수 있는 다양한 한복 소품을 학습하고 직접 제작 실습하여, 전통공예와 한복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한복과 함께 착용할 수 있는 한복 소품의 종류를 학습하고 다섯 종류의 소품(댕기, 매듭, 조각보 및 다기주머니, 보자기, 조바위)에 대한 이론적 설명과 실습을 통해 전통 공예에 대한 이해를 넓힌다.
2
1학기 개설
스포츠는 한 사회의 거울이라고 한다. 스포츠에 비친 우리는 어떨까? 우리는 과연 스포츠를 제대로 알고 사용하고 있을까? 이 과목은 한국 스포츠의 역사,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과학적 측면의 실제를 사실과 통계를 통해 살펴보고, 우리 사회가 스포츠를 어떻게 만들어가야 할지에 대한 담론과 대안을 제시한다.
3
"스마트건강과라이프스타일" 과목은 이너뷰티의 포괄적 개념을 탐구하고, 현대사회에서 이너뷰티의 중요성과 실천 방법을 배우는 과목입니다. 강의는 이너뷰티와 관련된 심리학적 및 생리학적 요소를 포함하여, 학생들이 내면의 아름다움을 키우고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자기 긍정, 스트레스 관리, 건강한 체중관리, 유해한 다각적인 생활요소 및 생활습관성질환 예방 등이 포함되며, 이 과목은 학생들이 자기 자신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게 하고, 고도화된 질병예방적인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합니다.
2
역사와 문화, 예술 분야로 진로를 고민하는 학생, 혹은 이와 관련된 분야에 관심을 갖고 있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고미술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물 자료의 감정을 위한 기초 지식을 학습한다.
2
본 교과목은 이미지 관찰을 통해 사물에 대한 이해와 이에 따른 표현 방법을 습득하는 과정으로 미술의 가장 기본이 되는 연필 소묘를 체계적으로 학습하는 수업이다. 소묘로 사물을 표현하는 테크닉을 연마함으로써 눈에 보이는 모든 대상을 감각적으로 받아들이며 손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2
본 교과목은 인공지능(AI)과 무용 예술의 융합 가능성을 탐구하는 15주 과정의 프로젝트형 수업으로 주요 목표는 다음과 같다. 1. 인공지능 시대의 핵심역량 (창의성, 혁신,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 및 협력) 강화 2. 변화하는 예술 환경에 대한 적응력 향상 3. 무용 분야에서의 AI 적용 방법 학습 4.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함양. 학생들은 AI 도구와 기술을 활용하여 창의적인 예술 작업을 수행하고, 새로운 형태의 창작 방법을 경험하게 된다.
2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ESG 디자인'은 학생들이 환경, 사회, 거버넌스(ESG)와 관련된 주요 이슈를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실천 가능한 디자인 프로젝트를 제안하는 교과목입니다. 학생들은 디자인을 통한 지속 가능한 해결책을 모색하며, 창의적 사고와 문제 해결 역량을 배양합니다. 또한, 지역사회와의 협업을 통해 ESG의 가치를 실천하는 방법을 배우고, 공동체 일원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체감하는 기회를 얻게 됩니다.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디자인의 역할을 심도 있게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2
현대 사회에서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은 모든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한 그래픽 디자인 역량은 필수적인 능력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2D/3D 그래픽 툴: 디자인의 시작'은 자율전공 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과 학생들이 그래픽 디자인의 기초를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된 온라인 교양과목입니다. 이 과목은 학생들이 2D 및 3D 그래픽 툴을 활용하여 아이디어를 효과적으로 시각화하고, 디자인적 사고를 다양한 프로젝트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 역량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전공 분야와 디자인 요소를 융합하여 창의적인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탐색하고, 협업과 소통을 통해 디자인의 다각적 접근 방식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자율적인 학습 습관을 기르고,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기회를 제공합니다.
2
공예 및 디자인 분야에 대한 기초 지식을 제공하고 학생들이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전공을 탐색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을 목표로 개설되었습니다. 조형대학의 9개 학과(공예 및 디자인 학과) 학생들을 비롯한 전공 탐색 희망자를 대상으로, 기초적 디자인 원리와 공예 개념을 학습하며,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다양한 공예 및 디자인 분야를 체험하고, 자신의 전공 선택에 필요한 명확한 기준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2
공예 및 디자인 분야에 대한 기초 지식을 제공하고 학생들이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전공을 탐색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을 목표로 개설되었습니다. 조형대학의 9개 학과(공예 및 디자인 학과) 학생들을 비롯한 전공 탐색 희망자를 대상으로, 기초적 디자인 원리와 공예 개념을 학습하며,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다양한 공예 및 디자인 분야를 체험하고, 자신의 전공 선택에 필요한 명확한 기준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2
공예 및 디자인 분야에 대한 기초 지식을 제공하고 학생들이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전공을 탐색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을 목표로 개설되었습니다. 조형대학의 9개 학과(공예 및 디자인 학과) 학생들을 비롯한 전공 탐색 희망자를 대상으로, 기초적 디자인 원리와 공예 개념을 학습하며,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다양한 공예 및 디자인 분야를 체험하고, 자신의 전공 선택에 필요한 명확한 기준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2
고학년의 학생들에게 기업의 조직과 문화를 이해하고 제반 직무역량을 함양하고, 아울러 본인이 희망하는 기업 및 직무 분야로의 성공적인 사회진출을 지원한다. 기업/직무 분석을 통해 본인의 전략적 취업 방향과 대책을 세울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기업과 직무의 이해·분석을 통하여 취업역량을 강화시킨다.
1
성공한 벤처인 및 창업자가 창업에 대한 동기 부여, 성공 사례 및 실퍠의 경험을 바탕으로 대학생들에게 기업가정신을 함양하고 도전의식을 부여하며 열정을 키우는 특강
2
고래로 우리나라에서는 왕실과 조종, 불가, 사가의 각종 의례에 다례가 수반되어 있어 예가 있는 곳에 항시 차가 있었다. 그리하여 스스로가 반듯하여짐을 추구하였다. 이와 같은 전통을 오늘과 미래에 적절하게 조화시키어 발전적인 생활에 부합되어질 여러 문제를 서로 찾아 공부하는 것이다.
2
2학기 개설
‘나는 누구이며 어떻게 살 것인가’의 문제는 동서고금을 막론한 모든 사람들이 고민해온 주제이다. 이것은 나를 둘러싼 환경과 나를 ‘나’이게끔 한 진리의 근거들을 분석하고, 다양한 지식전통과 방법론을 통해 나를 재구성해가는 작업이다. 철학이 바로 이러한 반성적 인간들의 역사․문화적 산물이라면 ‘동양철학’이란 나와 타인, 그리고 세계에 접근하는 동아시아적 방법론이다. 서구화를 의미하는 ‘세계화’는 ‘동양적인 것’에 대한 다양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철학의 ‘현실 비판’적 기능으로 왜곡된 동양, 부풀려진 동양을 바로잡는 일이 필요하다. ‘서양’이 아닌 ‘동양’의 철학이란 우리를 구성하고 있는 역사․문화적 자원에 관한 검토이면서 현대를 다시 묻는 힘을 얻는다.
1
목요특강은 사회 여러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인사들을 초청하여 삶에 대한 깊은 이해와 가치관, 시대관, 세계관을 접할 수 있는 강좌로, 명사들의 함축된 지식전달과 인격도야의 기회를 마련하는 교양강좌이다.
2
자신의 몸을 새롭게 인지하고 예술에 대한 적극적인 이해를 일반인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교양 프로그램은 신체에 대한 지각과 자세정렬은 물론 읽기, 쓰기, 말하기와 함께 창의적인 자기표현 매체로서의 예술을 경험하게 된다. 또한 창작과정을 통해 문학, 연극, 무용, 영상, 음악, 미술 등의 다른 예술 쟝르와의 접목을 시도함으로써 총체적 예술로서 미학을 경험한다.
3
국민대학교를 중심으로 조성되어 있는 문화재, 미술관, 공연장, 문화의 거리 등의 시설물을 직접 찾아가서 그 공간의 목적, 유래, 운영, 비전 등을 운영자로부터 직접 듣고 그 곳에서 일어나는 문화행사를 감상한다.
2
2학기 개설
본 교과는 부모 됨과 자녀교육과 관련된 전문지식을 학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교과를 통해 유아발달과 관련된 이론과 교육실제를 접목하도록 유아생태학적인 변인을 알아보고, 유아 발달단계에 적합한 부모역할과 기능을 학습한다. 또한 요보호 자녀의 심리적 복지에 대한 연구고찰로 현장에서의 교육 실제를 구체화한다.
2
국민대학교 캠퍼스에서 북한산 형제봉까지 개발된 등산로의 생태환경을 자세히 담고 있는 자기 안내식 해설서를 활용하여 스스로 자연과 생태의 가치와 의미를 익히는 과목으로 녹색 지식인을 길러내고자 수업기간 내에 매월 1회 이상씩 해설코스를 돌아보면서 우리 주변의 자연, 동물, 식물 등에 대한 관심과 배려를 일깨우는 생태학적 상상력과 감수성을 스스로 배양하도록 한다.
2
유교경전의 근간이 되는 사서삼경의 핵심부분을 접함으로써 공․맹사상의 원천을 이해하고 한문 문리의 기본을 습득한다.
1
각 영역별 교수님들을 초청하여, 전공 이외 다양한 분야의 사회적 이슈, 지식들을 접해 복합적, 융합적 소양을 배양함을 목적으로 한다.
2
학생들이 대학 생활 중 자기 주도하에 행복한 인생을 설계해나가도록 돕는다. 인생의 의미와 비전, 태도의 변화, 시간경영, 인간관계, 배우자 선택과 가정 설계, 커뮤니케이션, 직업의 선택, 리더십과 팔로워십 등을 공부한다. 교재 없이 모의결혼식, 파티, 노래와 춤, 영상 감상, 토론, 멘토링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한다. 다른 동료 수강생들과 깊은 교제를 나누며, 실제의 삶 속에서 구체적으로 행복한 인생을 누리도록 지도한다.
2
사회가 다양해지고 사람들의 생각과 의견도 다양해지고 있는 시대에 자신을 솔직하고도 명확하게 표현하는 스피치 기술과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이 다른 사람과 쌍방적 대화를 통해 타협하고 조정하여 합의에 이르는 win-win대화법을 체득시키고자 함.
2
과학기술의 발달․인구의 증가․쾌적한 생활을 추구하고자 하는 인류의 환경에 대한 요구의 증대 및 자연자원 이용의 급증에 따른 범지구적․국가적 및 지방적 차원에서 발생하는 생태계 파괴와 환경오염문제의 실상분석과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생태학적 이론을 강의하고, 환경생태학적 문제에 대해서 발표 및 토론을 실시한다.
1
주요 대기업과 공기업에서 채용 및 승진 시 가점을 부여하고 있는 국가공인 e-Test전산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과정이다.
1
학생들이 가진 작은 지식을 나누는 행동으로 소상공인 등 지역사회가 겪는 문제가 해결되는 것을 경험하며 나눔의 가치를 몸소 깨닫고 창업 현장체험의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지역사회에 대한 보다 능동적인 봉사활동을 통하여 공동체의식을 함양하고 실천적 소양을 겸비한 인재로 성장하도록 돕는다. 활동은 정릉시장 소상공인회 등 다양한 지역사회 공간에서 재능기부형으로 봉사하며 학생들은 다양한 학과로 팀을 구성하고 봉사활동을 하게 된다.
1
지역사회에 대한 봉사활동을 통하여 공동체의식을 함양하고 인격을 도야하여 민주사회의 가치와 정의를 체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사회봉사 활동을 장려한다. 활동은 아동반, 장애인반, 노인반, NGO반, 정부기관반, 인터넷지원반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사회봉사Ⅲ은 계절학기에만 개설되어 농촌활동 봉사를 포함하게 된다.
1
계절학기 개설
지역사회에 대한 봉사활동을 통하여 공동체의식을 함양하고 인격을 도야하여 민주사회의 가치와 정의를 체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사회봉사 활동을 장려한다. 활동은 아동반, 장애인반, 노인반, NGO반, 정부기관반, 인터넷지원반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사회봉사Ⅲ은 계절학기에만 개설되어 농촌활동 봉사를 포함하게 된다.
1
외국인 학생을 돕는 봉사활동을 통하여 다양한 국가의 문화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넓히고, 글로벌 마인드를 함양하며, 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국제사회의 창의적이고 지성적인 참여자로 자신의 책임을 완수하고 지도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Ⅰ,Ⅲ 1학점
Ⅱ,Ⅳ 2학점
계절학기개설
Sungkok Global Exposure in (Country name)Ⅰ,Ⅱ,Ⅲ,Ⅳ)
학생들의 전공과 관심분야에 따라 해외 자매대학교의 교양 및 전공 강의, 언어연수, 학생교류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글로벌 감각을 익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2
2
3~5학년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외국계 기업, 인턴십 준비과정, 방법론 등의 해외 취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글로벌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개설된 프로그램이다.
2
Tea is the second most consumed drink after water. China, England and Japan are famous for their tea and tea culture. Korean tea and tea ceremony have long history. Through this course, students can (1) exper ience Korean tea ceremony and tea culture (2) appreciate different types of tea (3) experience world tea culture of China, England and Japan. The enriched understanding of tea culture allows students to better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better adapt to multi -cultural global environment.
2
직무분야 소개와 직무특성 분석을 통한 학생들이 조기에 직업 목표와 취업방향을 구체화하고 차별화된 본인만의 포트폴리오를 완성시키고자 한다. 공공기관이 선호하는 기업분석과 직무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고 본인의 전공 및 적성에 맞는 직무분야를 선택하여 조기에 직업마인드와 취업역량을 키울수 있도록 지원한다.
2
이력서 작성부터 직무적성검사, 면접까지 모든 채용단계를 경험하고 학습해봄으로써, 실전 취업에 성공할 수 있는 본인만의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한다.
3
사랑과 죽음은 모든 인간의 공통된 인생 과제이며 문학 및 예술의 중요한 주제 중 하나이다. 이는 감성의 영역인 동시에 인간관계, 사회관계를 반영하는 영역이자 정치경제의 영역이기도 하다. 문학 및 영화 등을 통해 시대의 변화 및 서사적 시각에서 사랑과 죽음의 담론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인생 과제로서의 사랑과 죽음을 재고하여 이에 대한 창의적 재정향을 이루도록 한다.
2
본 교과목은 노벨상 수상자를 가장 많이 배출한 유대인의 하브루타 대화법을 훈련시켜 4차 및 5차 산업혁명시대 인재상에게 가장 중요하게 요구하는 소통과 경청 및 협력역량을 배양시키고, 사회의 트랜드와 이슈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심도있는 대화와 사고과정을 통해 학습자의 창의융합 역량을 증진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